미국 여행을 준비할 때는 단순히 짐을 꾸리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입국에 필요한 ESTA 신청이나 비자 발급, 여행자 보험, 환전 등 세부 준비 과정을 놓치면 큰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 2025년 최신 정보를 반영해, 미국 여행을 계획하는 분들이 반드시 챙겨야 할 준비 리스트를 정리했습니다.
ESTA 및 비자 준비 체크리스트
미국 여행 준비의 첫 단계는 입국 허가입니다. 한국인은 무비자 프로그램(Visa Waiver Program)에 따라 90일 이하의 단기 여행 시 ESTA(전자여행허가제)를 신청하면 됩니다. 2025년 현재 ESTA 신청 비용은 약 21달러이며, 반드시 미국 국토안보부 공식 웹사이트에서 신청해야 합니다. 신청 후 보통 몇 분 안에 결과가 나오지만, 최대 72시간까지 걸릴 수 있으므로 출국 최소 3일 전에는 완료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여유로운 여행 준비를 위해서는 1~2주 전에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90일 이상 체류하거나 유학, 취업, 교환 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에는 비자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B1/B2 비자(단기 출장·관광), F1 비자(학생), J1 비자(교환 방문)가 있으며, 인터뷰 예약이 까다로워 최소 2~3개월 전에는 신청해야 합니다. 2025년에는 비자 인터뷰 대기 시간이 늘어났다는 보고가 있어 더 일찍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ESTA나 비자 발급 후에는 여권 유효 기간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미국 입국 시 최소 6개월 이상 남아 있어야 하므로, 여권 갱신 여부를 체크해야 합니다.
여행 보험 및 통신·금융 준비
미국은 의료비가 매우 비싸기 때문에 여행자 보험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단순 감기 진료도 수백 달러가 청구될 수 있어, 최소한 의료비와 응급 수술비, 항공 지연·수하물 분실 보장이 포함된 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최근에는 온라인 가입이 가능하고, 모바일 앱을 통해 보장 내역 확인과 긴급 지원 서비스도 받을 수 있습니다.
통신 준비도 중요합니다. 미국에서는 한국 휴대폰 로밍보다 현지 유심이나 eSIM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2025년 현재 eSIM은 대부분의 최신 스마트폰에서 지원되며, 한국에서 미리 구매해 설치하면 미국 도착 즉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선택하면 지도 검색과 번역 앱 활용이 자유로워집니다.
미국은 카드 사용이 보편적이지만, 팁 문화 때문에 소액 현금(1~5달러 지폐)을 꼭 준비해야 합니다. 공항이나 호텔 팁, 작은 상점에서는 현금이 여전히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환전과 카드 사용을 모두 준비해 가는 것이 좋습니다. 환전은 한국에서 미리 일부만 하고, 나머지는 현지 ATM에서 국제 현금카드로 인출하는 방법도 안전합니다.
짐 챙기기 및 준비 필수품
미국 여행에서는 기내 반입 제한 규정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액체류는 100ml 이하 용기에 담아 투명 지퍼백에 넣어야 하며, 1인당 한 봉지까지만 허용됩니다. 전자기기와 충전기는 반드시 기내에 소지해야 하며, 보조 배터리는 위탁 수하물이 아닌 기내 반입만 가능합니다.
또한, 현지 사용을 위한 준비 필수품도 챙겨야 합니다. 전압은 110~120V으로 플러그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변환 어댑터를 준비해야 합니다. 의약품은 개인 복용 약을 영어 처방전과 함께 지참하는 것이 안전하며, 멀미약·소화제·두통약 등 기본 상비약도 챙기면 좋습니다.
의류 준비에서는 지역별 기후 차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미국 서부는 건조한 날씨로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크고, 동부는 겨울이 춥고 여름은 습도가 높습니다. 하와이와 같은 휴양지는 자외선 차단제를 꼭 챙겨야 하며, 국립공원 탐방을 계획한다면 등산화와 아웃도어 장비, 벌레 차단제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여행은 단순히 비행기 표를 예약하고 짐을 싸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ESTA 신청이나 비자 발급, 여행자 보험, 환전, 통신 준비까지 철저히 챙겨야 불편 없이 여행을 즐길 수 있습니다. 2025년 현재 ESTA·비자 규정과 통신·금융 서비스는 계속 변화하고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한 뒤 일정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철저한 준비만이 안전하고 즐거운 미국 여행의 시작입니다.